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

(61)
EIGRP 이론 실습 라우팅 설정하기 EIGRP Distan Vector Routing Protocol인 IGRP를 발전시킴 Advanced Distance Vector Routing Protocol 이라고도 한다. 중규모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 Cisco 장비 전용 라우팅 프로토콜이었으나 2016년 5월 RFC 7868로 표준 라우팅 프로토콜이 되어 다른 장비에도 적용 가능하다. RIPv2 처럼 주기적으로 30초마다 업데이트 되지 않고, 네트워크 변화가 있을 때만 즉이 업데이트 된다. 즉, RIPv2보다 경로 최적화가 빠르다. DUAL 알고리즘을 사용해 Successor(최적경로)와 Feasibla Successor(후속경로)를 선출한다. EIGRP에만 있는 방식으로 최적경로가 끊기면 다시 경로를 계산하지 않고 후속경로를 먼저 내보낸다. M..
와일드카드 마스크 와일드카드 마스크(Wildcard Mask) 서브넷 마스크와 구분하기 위해서 0과 1을 반대로 사용한다. 서브넷마스크가 255.0.0.0이라면 와일드카드 마스크는 0.255.255.255 서브넷 마스크와 달리 불연속적으로 1과 0을 넣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서브넷마스크보다 더 정확하고 상세하게 네트워크를 지정할 수 있다. EX) access-list 100 deny ip 200.200.200.1 0.0.255.0 --> 200.200.x.1 으로 들어오는 패킷을 전부 막는다 0.0.0.0 --> 모든 address bit 검사 즉, 하나의 IP주소를 지정한다는 뜻 255.255.255.255 ----> 모든 address bit 무시 즉, 모든 IP라는 뜻
RIPv2 실습, EIGRP 이론 RIP 실습 R1>en R1#conf t R1(Config)# int fa0/0 R1(Config-if)# ip add 192.168.10.254 255.255.255.0 R1(Config-if)# no sh // 포트 fa0/0 입력// R1(Config-if)# int se0/0 R1(Config-if)# ip add 1.1.1.1 255.0.0.0 R1(Config-if)# no sh //포트 se0/0 입력// R1(Config-if)# route rip //RIP방식의 다이나믹 라우팅 선언 R1(Config-router)# ver 2 //RIPv2 R1(Config-router)# net 192.16.10.0 R1(Config-router)# net 1.0.0.0 // 직접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
다이나믹 라우팅(Dynamic Routing), 서브넷팅(Subneting) 다이나믹 라우팅(Dynamic Routing Protocol) 로컬 네트워크를 등록하고, 다른 라우터로 라우팅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방식. 경로가 자동으로 설정된다. 대표적으로 RIPv2, EIGRP, OSPFv2가 있다. RIPv2 가장 간단한 다이나믹 라우팅 방식인 RIPv2로 실습을 해봤다. Distance Vector Routing Protocol 방식(거리와 방향으로 라우팅 설정) 소규모 네트워크 환경이나 서브넷솨 네트워크 정보가 가변적이지 않은 황경에 적합하다. 가장 단순한 동적 라우팅 방식이다. 라우트의 갯수(Hop Routing)를 보고 경로를 지정한다. Metric 값은 최대 15까지 가능 AD값은 120.(관리자 권리값. 라우팅이 중복 되었을 경우 낮은값이 우선함) 30초마다 주기적으로..
DNS (Domain Name System) DNS (Domain Name System) 정의 : 사람이 호스트의 서버를 쉽게 식별하기 위해 만들어진 시스템. 도메인 이름과 IP를 연동해 저장해놓고 이용자가 도메인을 입력하면 그에 대응하는 IP를 반환해준다. 예를들어 www.naver.com과과 같은 도메인을 입력하면 223.130.195.95 라는 IP주소를 반환해준다. 이 IP를 인터넷 주소창에 입력하면 네이버로 바로 들어가 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전화번호부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된다. 실습 기본 설정 - 라우터들과 PC들은 이전처럼 연결해 주고 서버들도 일단은 PC이기 때문에 IP, 서브넷마스크, 디폴트 게이트웨이를 입력해준다. : NAVER 서버를 기준으로 위처럼 코딩을 하자. 인터넷창에 네이버를 들어갔을 때 출력될 코딩이다. 그 다음 DN..
Static Routing(정적 라우팅) 최종 정리, 실습 4개 라우터를 정적 라우팅으로 잇기 R1 en conf t int fa0/0 ip add 192.168.10.254 255.255.255.0 no shutdown int se0/0 ip add 1.1.1.1 255.0.0.0 no sh ip route 0.0.0.0 0.0.0.0 1.1.1.2 R2 en conf t int fa0/0 ip add 172.16.10.254 255.255.0.0 no sh int se0/0 ip add 1.1.1.2 255.0.0.0 no sh int se0/1 ip add 2.1.1.1 255.0.0.0 no sh ip route 192.168.10.0 255.255.255.0 1.1.1.1 ip route 203.235.222.1 255.255.255.0 2.1.1.2 ..
라우터 Static연결실습, 디폴트 라우트(Default Route) 기본적인 인터페이스 설정 Router>en Routerr# conf t Router(config)# hostname R1 //라우터 이름 설정 R1(config)# no ip domain lookup //도메인 찾지 말라는 명령어 특정 명령어를 입력하다가 오타가 나면 도메인이라 착각하고 조회하러 갈 수 있기 때문에 원천 차단한다는 느낌// R1(config)# enable password cisco // password 레벨의 암호 설정 R1(config)# line console 0 //콘솔모드 진입 R1(config-line)# login local R1(config-line)# password cisco R1(config-line)# logging synchronous // 명령어 입력중 로그가 나..
2021-05-21 라우터 정의 Network Layer(3계층)에서 작동하며, 각기 독립된 네트워크들을 연결 또는 분할 시켜주는 장치다. 주요 기능 Networking : 독립된 네트워크들을 연결 또는 분할 시켜준다. Forwarding : 입력 포트로부터 패킷을 받아서 출력 포트로 전송하는 기능. 포트에 따로 입력, 출력이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라우터는 패킷의 헤더에서 정보를 얻어 적절하게 올바른 위치로 출력시키는 것이다. Routing : 경로 설정 기능. 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 그 안의 호스트에게 패킷을 전달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Routing Protocol 라우터 간 통신 방식을 규정하는 통신 규약. 어디로 전송해야 할지에 대한 경로 정보를 가지고 있는 라우팅 테이블을 만들고 저장해둠. Static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