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안/강의정리

다이나믹 라우팅(Dynamic Routing), 서브넷팅(Subneting)

728x90

다이나믹 라우팅(Dynamic Routing Protocol)

로컬 네트워크를 등록하고, 다른 라우터로 라우팅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방식. 경로가 자동으로 설정된다.

대표적으로 RIPv2, EIGRP, OSPFv2가 있다.

 

RIPv2

가장 간단한 다이나믹 라우팅 방식인 RIPv2로 실습을 해봤다.

  • Distance Vector Routing Protocol 방식(거리와 방향으로 라우팅 설정)
  • 소규모 네트워크 환경이나 서브넷솨 네트워크 정보가 가변적이지 않은 황경에 적합하다.
  • 가장 단순한 동적 라우팅 방식이다.
  • 라우트의 갯수(Hop Routing)를 보고 경로를 지정한다.
  • Metric 값은 최대 15까지 가능
  • AD값은 120.(관리자 권리값. 라우팅이 중복 되었을 경우 낮은값이 우선함)
  • 30초마다 주기적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업데이트
  • 멀티캐스트 주소인 224.0.0.9로 라우팅 정보를 전송한다.

RIPv2 실습


R1# conf t

 

R1(config)# int fa0/0

R1(config-if)# ip add 192.168.1.254 255.255.255.0

R1(config-if)# no sh

// fa0/0포트 설정//

 

R1(config-if)# int se0/0

R1(config-if)# ip add 1.1.1.1 255.0.0.0

R1(config-if)# no sh

R1(config-if)#exit

//se0/0포트 설정//

 

R1(config)# router rip

R1(config-router)# ver 2                        //RIPv2 실행

R1(config-router)#net 192.168.1.0  

R1(config-router)# net 1.0.0.0                 //직접 연결되어있는 network id 선언

R1(config-router)# no au                      //no auto-summary - 라우팅 테이블에 올라갈 때 서브넷마스크를 classful로 나누어 자동 설정하는 기능..?

 

R1(config-router)# passive-interface fa0/0   //라우팅 테이블을 보낼 때 여기 포트로는 전송되지 않게 막는 명령어


여기서 라우터에게 네트워크 아이디를 설정할 때 라우터가 연결 되어있는 모든 포트를 선언 해야한다.

 

서브넷팅(Subneting)

목적

  • 네트워크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다.
  • 부서별로 네트워크를 나눌 경우 보안성이 좋아진다.
  • LAN상의 Broadcast를 줄임으로써 불필요한 트래픽을 감소 시킬 수 있다.
  • ISP업체에서는 회선을 임대한 기업들에 IP를 할당하기 위하여 Subnetting 한 후에  IP를 할당하여 주소를 절약한다.

 

정의 : 클래스 별로 정해진 서브넷마스크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하나의 네트워크를 작게 여러개로 나눠 사용하는 방법이다. 보통 classful 방식이라고 a,b,c,d,e 클래스로 나누어서 서브넷 마스크를

255.0.0.0

255.255.0.0

255.255.255.0

이렇게 사용을 하는데 좀 더 세분화 하자는 이야기다

 

EX : 192.168.63.0 이라는 C클래스의 네트워크 IP를 사용하고자 한다.

여기서 기본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0. 호스트는 넷째자리 8bit가 사용가능하다.

 

여기서 영업팀 126명과 기술팀 126명이 이 IP를 사용한다 그러면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2개로 서브넷팅을 할 것이다.

호스트가 사용할 수 있는 8bit 중에 1bit를 가져오는 것이다.

 

그렇다면 192.168.63.X가 네트워크id가 되어 192.168.63.0xxxxxxx 와 192.168.63.1xxxxxxx 라는 id가 2개 생성된다.

 

호스트가 사용 할 수 있는 255만큼의 공간 중간에 파티션을 설치했다고 생각하면 된다. 이렇게 되면 호스트는 7bit만 사용할수 있게 되어

192.168.63.0 ~ 192.168.63.127 까지는 영업팀이

192.168.63.128 ~ 192.168.63.255 까지는 기술팀이 사용 하게 될 것이다.

 

그냥 나누면 되지 않냐라고 할 수 있지만 어디까지나 그거와는 다르다. 네트워크 id가 다르기 때문에 두 팀간에 직접적인 통신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