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 라우터를 정적 라우팅으로 잇기
R1
en
conf t
int fa0/0
ip add 192.168.10.254 255.255.255.0
no shutdown
int se0/0
ip add 1.1.1.1 255.0.0.0
no sh
ip route 0.0.0.0 0.0.0.0 1.1.1.2
R2
en
conf t
int fa0/0
ip add 172.16.10.254 255.255.0.0
no sh
int se0/0
ip add 1.1.1.2 255.0.0.0
no sh
int se0/1
ip add 2.1.1.1 255.0.0.0
no sh
ip route 192.168.10.0 255.255.255.0 1.1.1.1
ip route 203.235.222.1 255.255.255.0 2.1.1.2
ip route 3.0.0.0 255.0.0.0 2.1.1.2
ip route 168.126.0.0 255.255.0.0 2.1.1.2
R3
en
conf t
int fa0/0
ip add 203.235.222.254 0.0.0.0
no sh
int se0/1
ip add 2.1.1.2 255.0.0.0
no sh
int se0/2
ip add 3.1.1.1 255.0.0.0
no sh
ip route 192.168.10.0 255.255.255.0 2.1.1.1
ip route 1.0.0.0 255.0.0.0 2.1.1.1
ip route 172.16.0.0 255.255.0.0 2.1.1.1
ip route 168.126.0.0 255.255.0.0 3.1.1.2
R4
en
conf t
int fa0/0
ip add 168.126.63.254 255.255.0.0
no shutdown
int se0/2
ip add 3.1.1.2 255.0.0.0
no sh
ip route 0.0.0.0 0.0.0.0 3.1.1.1
순서 간단 정리
1. 터미널 열기
2. 포트마다 ip부여, 포트 열기(no shutdown)
ip add (부여하고싶은 ip) (ip의 서브넷마스크)
3. 라우팅하기
ip route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는 IP의 네트워크 ID) (그 IP의 서브넷마스크) (그 IP에 가까운 1홉 이내의 다른 라우터의 IP)
ip route 0.0.0.0 0.0.0.0 (내가 무조건 보낼 1홉 이내의 라우터의 IP)
여기서 한 라우트가 정적 라우팅할 갯수는 (모든 "네트워크" ID) - (자신에게 접속 되어 있는 모든 네트워크 ID)다.
예를들어 R2의 경우 네트워크 ID의 총 갯수는
192.168.10.0
172.16.0.0
203.235.222.0
168.126.0.0
1.0.0.0
2.0.0.0
3.0.0.0
이렇게 총 8개. R2에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ID의 갯수는
1.0.0.0
2.0.0.0
172.16.0.0
8-3 = 5. 중복되지 않는 5개의 네트워크 ID를 라우팅 해줘야 한다.
4. 확인하기
do show ip int b - 포트 상태 확인하고
왼쪽은 포트 이름과 그 포트에 부여된 IP 오른쪽은 포트의 개방 여부. up은 개방, 연결되었다는 거고, down은 개방은 되었지만 연결이 안되었다는 것,. administratively down 은 개방이 안되었다는 것
do show ip route - 연결된 IP와 라우팅 정보 확인
여기서 C는 connected 직접 연결된 상태, S는 static routing 정적 라우팅 된 상태. 이 정보를 가지고 확인하자.
'보안 > 강의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이나믹 라우팅(Dynamic Routing), 서브넷팅(Subneting) (0) | 2021.05.27 |
---|---|
DNS (Domain Name System) (0) | 2021.05.25 |
라우터 Static연결실습, 디폴트 라우트(Default Route) (0) | 2021.05.24 |
IP주소, Packet Tracer, DNS 서버, 게이트웨이 (0) | 2021.05.20 |
네트워크, 데이터의 기본용어 정리, CSMA/CD (0) | 2021.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