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적인 인터페이스 설정
Router>en
Routerr# conf t
Router(config)# hostname R1 //라우터 이름 설정
R1(config)# no ip domain lookup
//도메인 찾지 말라는 명령어 특정 명령어를 입력하다가 오타가 나면 도메인이라 착각하고 조회하러 갈 수 있기 때문에 원천 차단한다는 느낌//
R1(config)# enable password cisco // password 레벨의 암호 설정
R1(config)# line console 0 //콘솔모드 진입
R1(config-line)# login local
R1(config-line)# password cisco
R1(config-line)# logging synchronous // 명령어 입력중 로그가 나오면 자동으로 줄을 바꿔 입력중인 명령어 다시 표시
R1(config-line)# exec-timeout 5 20 // 5분 20초동안 작업을 하지 않으면 접속을 끊는다.
R1(config-line)# exec-timeout 0 // 사용자가 접속을 끊지 않으면 접속을 끊지 않음
R1(config-line)# exit
R1(config-line)# line vty 0 4 // 5개의 vty(원격접속) 라인 설정. 외부 사용자들이 telnet으로 라우터에 접속 할 때 허용 할 수 있는 5개의 vty만 접속을 허용한다는 의미. 넘으면 그 뒤에 접속하려는 사용자는 접속을 할 수가 없다.
R1(config-line)# login local
R1(config-line)# password cisco
R1(config-line)# exit
R1(config)# username admin privilege 15 password cisco // 계정 생성 privilege 15 만이 관리자
R1(config)# username user1 password cisco // 계정 생성 사용자 권한을 가진 계정
R1(config)# exit
R1(config)# banner motd # // 외부 접근 사용자에게 보여줄 문구를 작성
R1#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 라우터의 전원을 껏다 켜도 파일들이 날아가지 않게 RAM에 있는 구성 파일들을 NVRAM으로 옮겨놈 //
3개 이상의 라우터 연결
라우터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모든 네트워크IP를 라우팅 해야한다. 다른 라우터에서 오는 패킷도 대신 전달 하는 중계기 역할도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학교 수업시간에 친구한테 쪽지 전달할 때 같은 느낌.
Router>en
Router# conf t
Router(config)# hostname R1
R1(config)# enable secret cisco
R1(config)# line console 0
R1(config-line)# logging synchronous
R1(config-line)# exec-timeout 0
R1(config-line)# exit
R1(config)# line vty 0 4
R1(config-line)# login local
R1(config-line)# exit
R1(config)# int f0/0
R1(config-if)# ip add 192.168.20.254 255.255.255.0
R1(config-if)# no sh
// fa0/0 ip연결 //
R1(config)# int se0/0
R1(config-if)# ip add 1.1.1.1 255.0.0.0
R1(config-if)# no sh
R1(config-if)# exit
// se0/0 ip연결 //
R1(config)# ip route 2.0.0.0 255.0.0.0 1.1.1.2
R1(config)# ip route 168.126.0.0 255.255.0.0 1.1.1.2
R1(config)# ip route 172.16.0.0 255.255.0.0 1.1.1.2
// R1 라우터에 연결 안된 3가지 네트워크 ID 연결 //
// 1. 라우팅할 네트워크 ID 2. 1번의 서브넷마스크 3. 1번에 전달할 경로에 있는 1홉 주소 //
디폴트 라우트 (Default Route)
정의 : 경로를 찾지 못한, 경로를 정하지 않은 모든 네트워크들이 가도록 정해놓은 길. 목적지에 대한 경로가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마지막으로 패킷을 보내는 경로를 지정
R1(config)# int f0/0
R1(config)# ip add 192.168.10.254 255.255.255.0
R1(config)# no sh
R1(config-if)# exit
R1(config)# int s0/0
R1(config-if)# ip add 1.1.1.1 255.0.0.0
R1(config-if)# no sh
R1(config-if)# exit
R1(config)# ip route 0.0.0.0 0.0.0.0 1.1.1.2
// 0.0.0.0 이 모든 네트워크라는 말. R1 라우터에 들어오는 모든 패킷을 1.1.1.2로 보낸다는 말 //
유용한 명령어
Router# show ip interface brief // ip interface를 간단하게 보여주는 명령어
Router#show ip route // 라우터에 연결된 모든 ip 와 라우팅을 보여주는 명령어
// C - Connect 직접 연결된 IP
S - Static 정적라우팅된 네트워크 ID와 1홉 라우터 //
Router#show int s0/0 // Se0/0 에 관련된 모든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어
'보안 > 강의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DNS (Domain Name System) (0) | 2021.05.25 |
---|---|
Static Routing(정적 라우팅) 최종 정리, 실습 (0) | 2021.05.25 |
IP주소, Packet Tracer, DNS 서버, 게이트웨이 (0) | 2021.05.20 |
네트워크, 데이터의 기본용어 정리, CSMA/CD (0) | 2021.05.18 |
2021-05-17 정보보안 요소, hash 함수 (0) | 2021.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