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안/강의정리

RIPv2 실습, EIGRP 이론

728x90

RIP 실습

 

 


R1>en

R1#conf t

R1(Config)# int fa0/0

R1(Config-if)# ip add 192.168.10.254 255.255.255.0

R1(Config-if)# no sh

// 포트 fa0/0 입력//

 

R1(Config-if)# int se0/0

R1(Config-if)# ip add 1.1.1.1 255.0.0.0

R1(Config-if)# no sh

//포트 se0/0 입력//

 

R1(Config-if)# route rip                              //RIP방식의 다이나믹 라우팅 선언

R1(Config-router)# ver 2                            //RIPv2

R1(Config-router)# net 192.16.10.0           

R1(Config-router)# net 1.0.0.0                     // 직접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id 선언

R1(Config-router)# no au                           //자유롭게 서브넷팅 할 수 있게 자동으로 classful 서브넷 마스크 주지않게 선언 여기서는 딱히 필요없지만 나중에 혼란생기지 않게 그냥 선언 해준다함

R1(Config-router)# passive-interface fa0/0      // 라우팅 테이블이 필요없는 fa0/0에게 전달되지 않게 하기

R1(Config-router)# exit


EIGRP

  • Distan Vector Routing Protocol인 IGRP를 발전시킴
  • Advanced Distance Vector Routing Protocol 이라고도 한다.
  • 중규모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
  • Cisco 장비 전용 라우팅 프로토콜이었으나 2016년 5월 RFC 7868로 표준 라우팅 프로토콜이 되어 다른 장비에도 적용 가능하다.
  • RIPv2 처럼 주기적으로 30초마다 업데이트 되지 않고, 네트워크 변화가 있을 때만 즉이 업데이트 된다. 즉, RIPv2보다 경로 최적화가 빠르다.
  • DUAL 알고리즘을 사용해 Successor(최적경로)와 Feasibla Successor(후속경로)를 선출한다. EIGRP에만 있는 방식으로 최적경로가 끊기면 다시 경로를 계산하지 않고 후속경로를 먼저 내보낸다.
  • METRIC값은 BandWidth(대역폭), Load(부하), Delay(지연), Reliablity(신뢰도), MTU(최대 전송 단위)를 보고 계산한다.(10^10)/가장느린 대역폭 + (통과 경로의 모든 지연값)/10)*256
  • AD값(관리자 권리값)은 90이다.
  • 멀티캐스트 주소인 224.0.0.10으로 라우팅 정보를 전송한다.

Neighbor Table : unicast 통신을 위해 ip정보를 담아 두는 곳

Topology Table : 광고 받은 모든 정보가 저장되는 공간

Routing Table : 최적 경로만 올라오는 곳

Successor : 받은 경로 중 최족 경로

Feasible Successor : 받은 경로 중 백업 경로 (최적경로가 안될경우를 대비한 후속 경로)

 

명령어

router eigrp( AS Number(1~65535))

network [로컬네트워크 주소] [와일드카드 마스크]

no au

 

#와일드 카드 마스크

  • 정확한 네트워크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마스크. 서브넷 마스크의 1의 보수를 취한다
  • 255.0.0.0일 경우 와일드 마스크의 비트는 0.255.255.255가 된다.

#EIGRP 설정 확인 명령어

show ip eigrp neighbors : neighbors table 확인

show ip eigrp topology : EIGRP Topology table 확인

 

EIGRP의 자세한 내용은 다음 시간에~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