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1) 썸네일형 리스트형 IP주소, Packet Tracer, DNS 서버, 게이트웨이 IP (Internet Protocol) 정의 : 네트워크 상에서 컴퓨터 장치들이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을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특별한 번호. 모든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는 이 번호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컴퓨터, 라우터, 서버 등등 모든기계) 아직까지는 IPv4를 사용하고 있다. IPv4 형식 : 192.168.10.1 처럼 4자리가 존재하고 각 자리마다 8bits씩 총 32 bits 로 이루어져있다. 구성 요소 : Network ID + Host ID로 이루어져 있고 보통 Classful Address 체계를 따른다. Classful Address : IP주소를 규격화 된 크기별로 구분시키는 방식. 5가지의 구분이 있고 A, B, C, D, E클래스가 있다. IPv4 주소의 첫번째 자리로 판별한다. A .. 네트워크, 데이터의 기본용어 정리, CSMA/CD 데이터의 단위 bit, byte, digit, character nibble(=Octet) : 4bit를 의미함. (1/2byte) word : cpu가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명령 단위 대역폭(Bandwidth) 과 처리량(Throughput) 대역폭 : 주어진 시간동안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흐를 수 있는 비트수 (bps) 처리량 : 주어진 시간동안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실제 처리되는 비트 수 (bps) 최대 처리량은 대역폭을 넘지 않는다. 데이터 처리량(goodput) : 응용계층의 'goodput'이라고 하며 실제 사용 가능한 데이터 비트의 전송률 그러니까 데이터로써 유효한 비트만을 가지고 측정한다. MAC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 정의 : data link laye.. 2021-05-17 정보보안 요소, hash 함수 정보보안 요소 3가지 기밀성 - 부적절한 노출 금지, 허가받은 사용자 외 접근금지 무결성 - 부적절한 변경 금지, 허가받은 사용자 외 변경금지 가용성 - 지속적으로 서비스 가능해야한다. hash function - 보안에서의 해시함수는 일방향성을 가진 간단한 암호화 방법이다. - 어떠한 길이의 데이터를 해시함수에 넣어도 일정한 길이를 출력해 주는데 반대로 출력값을 가지고 입력값을 찾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점을 이용해 데이터의 무결성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들어 알고자 하는 파일의 해시값이 바뀌면 변조된 것을 바로 알 수 있는 것이다. 도서관에서 근무하던 시절에 키오스크가 랜섬웨어에 걸린적이 있는데 그 때 찾아보길 복구할 수 없는 랜섬웨어라 들은적이 있다. 그런류의 랜섬웨어는 해시함수처럼 일방향으로 .. 2021-05-14 권한, 포맷, 파티션 접근할 수 있는 권한 시스템 > 관리자 > 유저 어제 실습한 고정키를 이용한 관리자계정 해킹법에서 부팅디스크를 통해 cmd를 들어갔었다. 이 cmd는 시스템 권한을 가지고 있어 운영체제에 직접적으로 개입할 수 있게 해준다. 그렇기 때문에 sethc.exe라는 운영체제에 포함 되어있는 프로그램을 지울 수 있었다. sethc.exe 를 관리자 권한으로 제거하려고 하면 위처럼 거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수업 후반 토론의 전반적인 설명 우리가 일반적으로 말하는 '하드'는 주기억장치다. 하드라 부르는 이것의 종류는 hdd와 ssd가 있는데 우리 학원의 컴퓨터에는 ssd 하나가 들어있다. 파티션이란 일종의 칸막이다. 칸막이를 나누어 칸마다 C드라이브, D드라이브, E드라이브 라고 부르는 것.. 2021-05-13 보안이야기 요약 물리적 보안이 제 1순위다. 유명한 윈도우 계정 해킹방법이 있었다. shift 다섯 번 누르면 고정키를 설정할 것인지 물어보는 프로그램이 나오는데 C:\Windows\System32 의 sethc.exe가 바로 그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로그인 창에서도 열리는데 그 아이디어에 착안하여 shift 다섯 번을 누르면 cmd창이 나오게 할 수 있다. 윈도우 부팅 디스크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할 수 있는 cmd창을 그냥 열 수 가 있는데 여기서 sethc.exe를 cmd.exe로 바꿔치기하면 계정 로그인창에서 shift키를 다섯 번 눌러 cmd창을 열 수 있다. 여기서 핵심은 로그인 창에서 폴더 내부에 있는 프로그램을 열 수 있다는 것 같다. (파고 들 수 있는 취약점) cd w.. 이전 1 ···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