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안/강의정리

OSI 7 Layer

728x90

개요

  • 제조사마다 중구난방이던 네트워크를 국제표준화 기구 ISO(Interna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가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정의한 참조모델이다. 즉,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다.
  • 컴퓨터 통신 구조의 모델과 앞으로 개발될 프로토콜의 기본적인 뼈대가 된다.
  • 각 계층은 독립적이다. 그래서 문제가 생겼을 때 계층으로 파악하므로 문제 해결이 편리하다.

구조

OSI 7계층 구조

  • Application Layer의 데이터부터 시작해서 각 계층을 지날 때마다 그 계층의 헤더가 붙는다.
  • 이 헤더에는 각 그 계층의 정보가 들어있고 도착지의 그 계층이 열어본다.

 

 

 

Physical Layer (물리계층)

  • 1계층. 주로 전기적, 기계적 등등 물리적인 특성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계층
  • 이 계층은 데이터를 0, 1의 전기적인 신호로 전달하기만 하는 계층. 다른 일은 하지 않는다.

 

Data-Link Layer(데이터링크 계층)

  • 2계층. 물리계층에서 송수신 되는 데이터의 오류나 흐름을 제어한다.
  • bit 에러가 났는지 확인하고, 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흐름 제어를 한다.
  • 이 전송을 할 때 MAC 주소를 참조하며 테이블도 가지고 있다.

Network Layer(네트워크 계층)

  • 3계층. 데이터링크계층과 달리 목적지 까지의 경로를 설정한다.
  • 수신자의 IP 주소를 읽어서 라우터가 경로를 결정한다.
  • 3계층이 목적지 까지의 방향을 잡고 2계층은 그 방향의 옆주소를 알려주고 1계층이 전달한다. 

Transport Layer(전송 계층)

 

 

 

 

 

 

 

 

 

 

 

728x90

'보안 > 강의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ivate IP(사설IP), Public IP (공인IP)  (0) 2021.06.11
VLAN  (0) 2021.06.10
Switch  (0) 2021.06.08
Collision Domain, Broadcast Domain  (0) 2021.06.07
NAT (Network Adress Translation)  (0) 2021.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