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LAN 정의
2계층에서 스위치는 Broadcast Domain을 나눌 수 없다. Broadcast는 LAN 안에서의 모든 기기에게 패킷을 뿌리는 건데 스위치는 그 역할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라우팅이 필요 없는 상황에서 굳이 라우터를 구매해 Broadcast Domain을 나누려고만 사용 할 필요는 없다.
VLAN은 2계층에서 스위치가 Broadcast를 가상으로 나누기 위한 기술이다. 가상의 Broadcast Domain을 생성함으로써 전체 Broadcast Traffic을 제한 하고 이 논리적으로 나눈 그룹에 대해 서로 다른 보안정책을 적용 시킬 수 있어 보안성도 올라간다.
- A VLAN = A Broadcast Domain = Logical Network = A LAN
- L2계층에서 Broadcast를 나누기 위한 기술
- 가상의 Broadcast Domain을 생성함으로써 전체 Broadcast Traffic을 제한 할 수 있다.
- VLAN 하나하나가 하나의 Broadcast영역을 나타낸다.
- VLAN은 같은 네트워크 내에서만 사용되어지므로 다른 네트워크에는 영양을 주지 않는다. (구별 못한다)
- 논리적으로 네트워크 대역이 달라진 것이므로 VLAN간의 통신은 라우터나 L3스위치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VLAN 종류
- Port 기반 VLAN
- MAC 기반 VLAN
- Network 주소 기반 VLAN
- Protocol 기반 VLAN
실습1
<S1>
S1>en
S1# conf t
S1(config)# vlan 10 //vlan 10번을 쓸 것이라 선언
S1(config-vlan)# vlan 20
S1(config-vlan)# exit
S1(config)# int f0/2
S1(config-if)# switchport mode access //access모드 활성
S1(config-if)# switchport access vlan 10 // f0/2에 vlan 10만 올 수 있도록 선언
S1(config-if)# int f0/3
S1(config-if)# switchport mode access //access 모드 활성
S1(config-if)# switchprort access vlan 20 //f0/3에 vlan 20만 올 수 있도록 선언
S1(config-if)# int f0/1
S1(config-if)# switchport mode trunk // trunk 모드 활성. 모든 vlan은 이 포트를 지나갈 수 있다.
실습 1 결과
- 같은 vlan 번호끼리 통신이 된다.
- 모두 물리적인 네트워크 대역(192.168.10.0)은 같지만 서로 다른 vlan끼리 통신이 안된다.
- 논리적으로 서로 다른 LAN이기 때문이다. 이 둘이 통신이 되려면 라우터가 있어야 할 것이다.
실습2
<S1>
S1>en
S1#conf t
S1(config)# fa0/1
S1(config-if)# switchport mode trunk
S1(config-if)# fa0/2
S1(config-if)# switchport access vlan 10
S1(config-if)# switchport mode access
S1(config-if)# fa0/3
S1(config-if)# switchport access vlan 20
S1(config-if)# switchport mode access
S1(config-if)# fa0/4
S1(config-if)# switchport access vlan 30
S1(config-if)# switchport mode access
<R1>
R1>en
R1# conf t
R1(config)# fa0/0
R1(config-if)# no sh
R1(config-if)# fa0/0.10
R1(config-if)# encapsulation dot1Q 10
R1(config-if)# ip add 192.168.10.254 255.255.255.0
R1(config-if)# fa0/0.20
R1(config-if)# encapsulation dot1Q 20
R1(config-if)# ip add 192.168.20.254 255.255.255.0
R1(config-if)# fa0/0.30
R1(config-if)# encapsulation dot1Q 30
R1(config-if)# ip add 192.168.30.254 255.255.255.0
192.168.10.1 에서 다른 대역으로 통신을 추적해보면
패킷이 바로 가는게 아니라 라우터를 한 번 거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서로 다른 네트워크 대역 취급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보안 > 강의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기본 명령어 모음 (0) | 2021.06.14 |
---|---|
Private IP(사설IP), Public IP (공인IP) (0) | 2021.06.11 |
OSI 7 Layer (0) | 2021.06.10 |
Switch (0) | 2021.06.08 |
Collision Domain, Broadcast Domain (0) | 2021.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