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안/강의정리

Switch

728x90

정의

  • 허브의 확장된 개념으로 기본 기능은 허브와 동일하다.
  • 기본 스위치는 L2에서 동작한다. 
  • 허브와 달리 전송 중 패킷의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패킷의 목적지로 직접 전달한다. (Collision Domain 분리)
  • Broadcast Domain은 나눌 수 없다! traffic 제한이 불가능하다.

Switching 방식

  • Store-and-Forward 방식 : 스위치에 들어오는 전체 패킷을 전부 저장(Store)하고 전부 체크한뒤 보내는(Forward) 방식. 패킷을 전부 체크하기 때문에 에러 감지능력이 뛰어나지만 검사시간 때문에 지연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 Cut-Through 방식 : 스위치에 들어오는 패킷의 목적지 주소(48bit)만을 확인하고(Cut) 바로 보내는(Through)방식. 처리속도가 매우 빠르지만 에러를 찾거나 복구능력이 없다.
  • Fragment-Free 방식 : 위 두 방식의 장점을 합한 방식. 패킷을 전부 보지 않고 처음 512KB만 보고 보내는 방식이다. 

기본동작

  1. Flooding : 흩어뿌린다. 출발지 주소가 MAC Table에 없으면 전체 포트에 전달
  2. Learning : Mac-address를 배워와 Mac Table에 저장 해 놓는다.
  3. Fowarding : Mac table에 따라 정확한 포트에서 정확한 포트로 전송
  4. Filtering : 출발지와 목적지가 같은 세그먼트에 있는 경우 다른 세그먼트로 패킷을 보내지 않게 차단
  5. Aging : 300초 경과 후 MAC주소 삭제. 카운트가 끝나기 전에 해당 포트로 패킷이 들어오면 처음부터 카운트. MAC테이블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사용됨.
728x90

'보안 > 강의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VLAN  (0) 2021.06.10
OSI 7 Layer  (0) 2021.06.10
Collision Domain, Broadcast Domain  (0) 2021.06.07
NAT (Network Adress Translation)  (0) 2021.06.04
ACL  (0) 2021.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