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안/강의정리

NAT (Network Adress Translation)

728x90

NAT(Network Adress Translation)

  • IP Header의 주소를 다른 주소로 바꾸는 기술.
  • 여러개의 사설 호스트를 하나의 공인IP로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함
  • L3의 라우터가 이 역할을 하고 있다

Static NAT

  • 특정 사설IP가 특정 공인IP만 사용하도록 관리자가 미리 정해놓는 방식
  • 외부로 서비스하는 서버(DNS라던가 NAVER같은 업체의 서버)는 대부분 Static NAT 방식을 사용한다.

Static NAT

  • 설정 Router(config)# ip nat inside source static [local-ip] [global-ip]
  • 각 인터페이스로 이동 후 내부와 외부를 따로 설정 해줘야 한다.

Static NAT 실습


R1>en

R1#conf t

 

R1(config)# int fa0/0

R1(config-if)# ip add 10.10.10.254 255.255.255.0

R1(config-if)# no sh

 

R1(config-if)# int se0/0

R1(config-if)# ip add 2.2.2.2 255.255.255.252                       //서브넷팅 /30

R1(config-if)# no sh

R1(config-if)# exit

 

R1(config)# ip route 1.1.1.0 255.255.255.0 2.2.2.1                 //직접 라우팅

 

R1(config)# ip nat inside source static 10.10.10.1 200.1.1.1    //Static NAT

 

R1(config)# int fa0/0

R1(config-if)# ip nat inside

R1(config-if)# int se0/0

R1(config-if)# ip nat outside

// NAT의 내부와 외부 설정 // 


 

 

Dynamic NAT

  • 데이터가 나가고 들어올 때 NAT Table을 만들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NAT Table을 삭제함
  •  
728x90

'보안 > 강의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itch  (0) 2021.06.08
Collision Domain, Broadcast Domain  (0) 2021.06.07
ACL  (0) 2021.06.03
DHCP  (0) 2021.06.03
OSPF 실습  (0) 2021.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