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안/강의정리

DHCP

728x90

DHCP

TCP/IP 통신을 하기 위해 필요한 설정 정보를 자동적으로 할당하고 관리하기 위한 통신 규약. 즉, 자동으로 IP주소를 할당하는 기술. 네트워크 망 안에서의 모든 IP를 DHCP서버가 관리한다.

 

호스트가 IP를 받아오는 4가지 단계가 있다

 

1단계 : Discover. Client가 DHCP 서버를 찾는다.

          Client는 브로드캐스트로 DHCP서버를 찾는 요청을 전송한다. DHCP 서버가 어디에 있는지 모르기 때문 

 

 

2단계 : Offer. Server가 특정 IP주소를 받을 것인지 제의한다.

          특정 IP 주소르 브로드캐스트로 너 받을거니? 라고 서버가 제안한다. Client는 IP가 없기때문에 직접 받을 수 없고 하나의 LAN 안에 여러개의 DHCP Server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바로 IP를 주지 않고 너 아직 IP 안받았으면 이거쓸래? 라고 물어보는 중

 

3단계 : Request. Client가 특정 IP주소를 받을 것을 요청한다.

          Client는 제일 첫번 째로 온 IP를 받는다고 브로드캐스트로 회신한다.

 

4단계 : Ack. Server가 특정 주소를 전달한다.

         Request 패킷을 받은 DHCP Server는 두사기 작업 중 한가지 작업을 한다.

         1. 자신이 제출한 IP가 채택되지 않았다면, DHCP 서버는 해당 IP주소를 자신의 풀에 유지

         2. 자신이 제출한 IP가 채택되면 IP주소 임대 기간등의 옵션을 담은 수신확인(Acknolege) 패킷을 전송

 

명령어


R1(config)# ip dhcp pool [영역이름]

R1(dhcp-config)# network [네트워크주소] [서브넷마스크]

R1(dhcp-config)# default-router [게이트웨이 주소]

R1(dhcp-config)# dns-server [DNS 주소]

R1(dhcp-config)# exit

R1(config)# ip dhcp excluded-address [제외할 ip주소]

 

R1# show ip dhcp binding


실습 1

DHCP 실습 1


R1>en

R1# conf t

 

R1(config)# int fa0/0

R1(config-if)# ip add 192.168.10.254 255.255.255.0

R1(config-if)# no sh

//포트 fa0/0 선언//

 

R1(config-if)# int se0/0

R1(config-if)# ip add 192.168.20.254 255.255.255.0

R1(config-if)# no sh

R1(config-if)# exit

//포트 se0/0 선언//

 

R1(config)# ip dhcp pool isec_7F                           //isec_7F이라는 이름의 dhcp 서버 생성

R1(dhcp-config)# net 192.168.10.0 255.255.255.0      // dhcp가 나눠줄 네트워크 대역

R1(dhcp-config)# default-router 192.168.10.254       //기본 게이트웨이 설정

R1(dhcp-config)# dns server 168.126.63.1               // 하위 컴퓨터들이 사용할 dns 서버

R1(dhcp-config)# exit


 

설정 확인

 

 

이런식으로 나눠진다.

 

 

 

 

 

 

 

728x90

'보안 > 강의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T (Network Adress Translation)  (0) 2021.06.04
ACL  (0) 2021.06.03
OSPF 실습  (0) 2021.06.02
OSPF 이론  (0) 2021.05.31
EIGRP 이론 실습 라우팅 설정하기  (0) 2021.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