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안/강의정리

SWAP 메모리 (가상 메모리) 이론 및 구축

728x90

개요

CPU는 연산능력이 주기억장치나 보조기억장치가 작동하는 속도보다 월등히 빠르다.

 

연산을 하려면 데이터가 있어야하고 데이터가 있으려면 기억장치가 있어야하는데 그나마 CPU의 속도를 따라오는 것이 주기억장치(RAM)이다.

 

그러나 RAM에도 크나큰 단점이 있으니 월등한 가격.

1TB의 보조기억장치를 사용하는 시대에 16GB정도의 주기억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니 어느정도 차이인지 대강 알 수 있다.

이론

이런 주기억장치의 비싼 가격을 보완하기 위해 나온 것이 SWAP 메모리. 보조기억장치의 아주 일부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메모리 기법이다.

작동원리

가상메모리 관리 기법

  • 페이징(paging) 기법
    • 가상기억장치를 고정 길이의 페이지로 구분하고 이러한 페이지를 하나의 단위로 하여 주기억장치에 고정크기의 블럭에 설치하고 주소를 변환
    • 보조기억장치를 여러 개의 page로 구분함
    • 보조기억장치에 있는 프로그램의 RAM으로 들어올 때 동일한 크기의 블럭으로 나누어 관리하는 기법
    • RAM과 HDD를 똑같은 크기로 잘라쓴다는 말
    • 속도는 paging 기법이 빠르지만 공간 효율성이 떨어진다.

paging 기법

  • 세크먼트(segment) 기법
    • 가상기억장치를 가변 길이의 페이지로 구분하고 이러한 페이지를 하나의 단위로 하여 주기억장치에 가변길이의 데이터 크기만큼 설치하고 주소를 변환
    • 블럭의 크기를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블럭으로 메모리를 나누어 저장한다.
    • 공간 효율성이 좋다.

 

SWAP 메모리 구축

1. SWAP 파티션 추가 및 생성

 

2. SWAP 영역 생성

 

3. SWAP 파티션 자동 마운트 등록

 

4. SWAP 파일 설정

728x90

'보안 > 강의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ID 구성  (0) 2021.07.22
RAID (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  (0) 2021.07.21
LVM(Logical Volume Manager)  (0) 2021.07.20
파티션 및 마운트  (0) 2021.07.16
crontab 설정  (0) 2021.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