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안/강의정리

LVM(Logical Volume Manager)

728x90

LVM

  • 의미 : 하드 디스크를 좀 더 효율적이고 유연하게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 특징
    • 여러 하드디스크를 합쳐서 하나의 파일시스템으로 사용할 수 있다.
    • 물리적으로는 다르지만 논리적으로 합칠 수 있어서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필요로 하거나 작은용량의 하드를 크게 이용하고 싶을 때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LVM 작업 Flow

파일시스템을 만들 때 파티션 나누고 포멧하기전 적용한다.

 

 

실습

1. sdb, sdc 두개의 장치를 추가하고 파티션 설정

sdb,sdc

똑같이 나눠주되 파티션의 속성을  LVM의 파티션 속성인 8e로 해줘야한다.

 

2. PV,VG,LG 구성

PV(Physical Volume) : 물리적 장치를 선언해줘야한다.

VG(Volume Group) : 장치를 어떻게 묶을 것인지 선언한다. VG가 하나의 물리적 장치로 보게된다.

LV(Logical Volume) : 하나의 물리적 장치가 된 VG를 LV로 파티션을 나눠준다.

 

비유하자면 LVM은 찰흙덩어리 3개를 뭉쳐다가 내가 나누고 싶은만큼(파티션을) 나눈다고 보면 된다.

 

pv 구성

# pvcreate [장치명] 으로 구성

 

vg 구성

#vgcreate [VG명] [장치명] [장치명].... 으로 구성

 

LV 구성

# lvcreate -L [크기(용량)] -n [LV명] [VG명]

# lvcreate -l [크기(퍼센트)}%FREE -n {LV명] [VG명}

 

두가지 방법으로 파티션을 나눌 수 있다.

 

3. 포멧

 

LVM 포멧

 # mkfs -t ext4 [LV경로]

 

4. 마운트

마운트

 

# mkdir [마운트 디렉터리]

# mount [LV경로] [마운트 디렉터리]

 

 

5.확인

#df -Th

 

 

 

 

 

 

 

728x90

'보안 > 강의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ID 구성  (0) 2021.07.22
RAID (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  (0) 2021.07.21
파티션 및 마운트  (0) 2021.07.16
crontab 설정  (0) 2021.07.15
리눅스 파일 접근제어(ACL)  (0) 2021.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