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안/강의정리

파티션 및 마운트

728x90

실습

 

 

1. 파티션 생성

물리적으로 디스크를 하나 추가한 다음 재부팅

 

#fdisk -l

재부팅 후 fdisk -l 를 해보면 기존에 쓰던 sda 와 함께 sdb 디스크가 만들어져있다.

 

여기서 sdb를 2개의 파티션으로 10GB 씩 분할한다.

 

명령어 p로 확인해보면

2개의 파티션으로 나눠졌다.

 

2. 포맷

디스크의 구역을 나누었으면 이제 그 구역을 파일 시스템으로 꾸며줘야 한다.

 

mkfs (make file system) 명령어를 사용한다.

#mkfs -t ext4 /dev/sd*

 

여기서 -t ext4 는 파일시스템의 형식을 리눅스의 파일시스템인 ext4로 해준다는 뜻

 

위처럼 done이 4번 떠야 된다.

 

3. 마운트(mount)

포맷이 완료된 파티션을 실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디렉토리에 연결하는 것

그렇기에 마운트를 해줄 디렉터리 mp1, mp2를 만들고 여기에 각각 sdb1, sdb2를 연결 할 것이다.

 

df -Th로 sdb가 제대로 설정이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4.오토 마운트(autp mount)

위처럼 연결한 마운트는 시스템이 재부팅 되면 사라진다. 그렇게 되지 않으려면 오토 마운트를 해줘야한다.

 

그 설정을 해주는 파일은 /etc/fstab 이다.

 

 

vi편집기로 들어가보면 위와같이 되어 있는데 앞부터 차례대로

 

장치        마운트포인트    파일시스템    오토마운트 옵션    dump 기록여부    파일시스템 체크

/dev/sb1   /mp1              /ext4              defaults                    0                        0

 

나와서 마지막으로 mount -a 를 해주면 된다.

728x90

'보안 > 강의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ID (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  (0) 2021.07.21
LVM(Logical Volume Manager)  (0) 2021.07.20
crontab 설정  (0) 2021.07.15
리눅스 파일 접근제어(ACL)  (0) 2021.07.06
리눅스 파일 속성 설정  (0) 2021.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