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안/강의정리

사용자계정 useradd, usermod, userdel

728x90

useradd 명령어

사용자 계정 추가시 useradd 명령어를 사용하며, 이 명령어에 의해 /etc/passwd와 /etc/shadow 두 개의 파일에서 나누어 계정 정보를 관리하게 된다. 또한, /etc/skel 디렉터리에서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에 초기화 파일을 자동으로 복사하게 된다.

 

옵션 설명 명령어 설 명
-u UID값 지정 #useradd -u 1100 test1 UID값변경, 그룹 미지정시 uid와 동일한 gid 생성
-g group 지정 #useradd -g isec_admin test2 그룹 지정시 GID 미생성, 보안그룹이라 부르기도 함
-G 보조 group 지정 #useradd -G test1 test3  
-c 계정설명, 주석 #useradd -G test1 test3 comment 입력가능
-d 홈디렉터리 지정 #useradd -d /export/home/test5 test5 ◆신규계정의 홈 디렉터리
◆계정 디렉터리 지정 시 가능함
◆계정명과 동일한 디렉터리 명까지 기재할 것
◆계정을 통합관리 하기 위해 가급적 필터링 할 수 있는 계정이 좋다.
-s shell 지정 #useradd -s /bin/ksh test6  
-f 계정 유효일 #useradd -f 10 test21 10일한 유효
-e 계정 만료일 #useradd -e 2018-10-30 test22 만료일이 2018-10-30

※ UID가 동일한 계정 생성

#useradd -o [신규 계정명] -u [UID] : -o 옵션으로 동일한 UID값을 갖는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예) #useradd -o admin -u 0 -g 0        //root권한을 갖는 신규계정 생성

 

#useradd- -m -k [skel 경로 지정] : skel은 계정의 뼈대다. 신규 사용자를 생성할 때 skel을 그대로 가져와 사용하는데 특별한 사용자를 만들기 위해 skel처럼 가져올 경로를 따로 지정한다.


usermod 명령어

이미 생성된 계정의 속성을 변경하기 위한 명령어. 각종 옵션을 통해 속성을 변경 할 수 있다.

옵션 설명 명령어 설명
-u UID값 변경 #usermod -u 1010 ihduser uid값 변경
-g group 변경 #usermod -g isec_admin ihduser 주 그룹 변경(id ihduser)
-G 보조 group 변경 #usermod -G root ihduser 보조그룹변경
-c 계정 설명, 주석 #usermod -c good ihduser 코멘트 변경
-d 홈 디렉터리 변경 #usermod -d /export/home/ihduser ihduser 사용자 계정의 새로운 홈 디렉터리. 변경할 위치의디렉터리가 우선 존재해야한다.
-m 홈 디렉터리 contents이동 #usermod -d /export/home/ihduser -m ihduser 홈 디렉터리의 contents를 새로운 홈 데릭터리로 move 할 때 사용. -d와 함께 사용한다.
-s shell 변경 #usermod -s /bin/tcsh ihduser 쉘 변경

userdel 명령어

  • #userdel으로 사용자계정을 지울 경우 계정 생성시 만들어지는 문서파일(/etc/passwd, /etc/shadow, /etc/group)만 삭제된다. 
  • 지운 계정의 홈 디렉터리와 /var/spool/mail/사용자 는 삭제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있다. 계정정지같은 개념인셈
  • #userdel -r 로 사용할 경우 계정 생성시 만들어지는 문서파일과 디렉터리 모두 삭제된다.

 

userdel

 

userdel -r

 

728x90

'보안 > 강의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용자계정 /etc/login.defs  (0) 2021.06.28
사용자계정 group 관리 명령어  (0) 2021.06.28
사용자계정 group  (0) 2021.06.28
사용자계정 관리 (passwd, shadow)  (0) 2021.06.28
리눅스 사용자 계정 개념 및 구조  (0) 2021.06.28